매매시장 2

전세시장도 양극화 심화 5분위 배율 13년 만에 최대 격차

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저가 아파트는 하락하지만 고가 아파트는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양극화 현상이 심회되고 있다. 최상위 20%의 아파트 전셋값은 최하위 20%의 4배를 넘는다. 25일 KB부동산의 4월 주택 가격 시계열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최하위 20%(1분위) 평균 전세 가격은 2억9858만원으로 3월(2억9891만원)보다 32만원 하락한 반면 최상위 20%(5분위)는 12억4249만원으로 3월(12억3588만원)에 비해 661만원 올랐다. 이에 따라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5분위 배율은 지난 3월 4.1배에서 4월 4.2배로 더 벌어졌다. 이는 KB부동산이 2008년 12월 관련 통계 조사가 시작한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벌어진 것이다. 이 비율은 지난해 9월 3.7배 수준이었으나 이후 지속적..

재테크 2022.04.26

부동산 전문가 수도권 집값 올해도 오른다고 전망

수도권 집값 올해도 오른다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7명은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이 올해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합니다. 조사결과, 올해 전국 주택매매가격 전망은 전반적으로 상승 의견(64%)이 많았지만 지난해(88%)에 비해서는 다소 축소됐습니다. 수도권 집값 상승 요인으로는 공급물량 부족(25%), 대선 이후 정책 변화(16%), 정부 규제 강화에 따른 매물 감소(14%) 등 수요 대비 물량 부족을 꼽은 의견이 다수였습니다. 비수도권의 경우 48%의 응답자가 하락 가능성을 전망했습니다. 이 중 3% 이상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(20%)도 다소 많았습니다. 비수도권의 가격 하락 요인으로는 대출규제(24%), 매매가격 부담(22%), 금리인상(9%), 세금강화·대선 후 정책변화(9%) 등이 꼽혔습니다. 지..

재테크 2022.03.09